•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타이쿤
  • 조회 수 59

What Is Critical Race Theory, and Why Is It Under Attack?

비판적 인종 이론이란 무엇이고, 왜 공격을 받는가?

 

As one teacher-educator put it: “The way we usually see any of this in a classroom is: ‘Have I thought about how my Black kids feel? And made a space for them, so that they can be successful?’ That is the level I think it stays at, for most teachers.” Like others interviewed for this explainer, the teacher-educator did not want to be named out of fear of online harassment.

 

한 교사-교육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가 교실에서 이런 것들을 보는 방식은 보통 '내가 흑인 아이들의 기분을 생각해 보았는가? 그리고 그들이 성공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했는가?'입니다. 저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그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설명을 위해 인터뷰한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이 교사-교육자는 온라인 괴롭힘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이름을 밝히고 싶어하지 않았습니다.

 

An emerging subtext among some critics is that curricular excellence can’t coexist alongside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or anti-racist work. Their argument goes that efforts to change grading practices or make the curriculum less Eurocentric will ultimately harm Black students, or hold them to a less high standard.

 

일부 비평가들 사이에서 떠오르는 숨은 의미는 커리큘럼의 우수성이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교육이나 반인종주의적 작업과 공존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들의 주장은 채점 관행을 바꾸거나 커리큘럼을 덜 유럽 중심적으로 만들려는 노력은 궁극적으로 흑인 학생들에게 해를 끼치거나 그들에게 덜 높은 기준을 요구할 것이라는 것입니다.

 

As with CRT in general, its popular representation in schools has been far less nuanced. A recent poll by the advocacy group Parents Defending Education claimed some schools were teaching that “white people are inherently privileged, while Black and other people of color are inherently oppressed and victimized”; that “achieving racial justice and equality between racial groups requires discriminating against people based on their whiteness”; and that “the United States was founded on racism.”

 

일반적으로 CRT와 마찬가지로 학교에서의 대중적 대표성은 훨씬 덜 미묘했습니다. 옹호 단체인 Parents Defending Education의 최근 여론 조사에 따르면 일부 학교에서는 "백인은 본질적으로 특권을 누리고 흑인과 다른 유색인종은 본질적으로 억압받고 희생당한다"고 가르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인종적 정의와 인종 집단 간의 평등을 달성하려면 백인성을 기준으로 사람들을 차별해야 한다"는 것과 "미국은 인종차별에 기반을 두고 건국되었다"는 것입니다.

 

Thus much of the current debate appears to spring not from the academic texts, but from fear among critics that students—especially white students—will be exposed to supposedly damaging or self-demoralizing ideas.

 

따라서 현재 논쟁의 대부분은 학술 텍스트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비평가들이 학생들, 특히 백인 학생들이 해롭거나 자기 낙담시키는 생각에 노출될까봐 두려워하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While some district officials have issued mission statements, resolutions, or spoken about changes in their policies using some of the discourse of CRT, it’s not clear to what degree educators are explicitly teaching the concepts, or even using curriculum materials or other methods that implicitly draw on them. For one thing, scholars say, much scholarship on CRT is written in academic language or published in journals not easily accessible to K-12 teachers.

 

일부 교육구 관계자들이 사명 선언문이나 결의문을 발표하거나 CRT 담론의 일부를 사용하여 정책의 변화에 대해 언급했지만, 교육자들이 이 개념을 어느 정도 명시적으로 가르치고 있는지, 심지어 커리큘럼 자료나 암묵적으로 이를 활용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우선, 학자들은 CRT에 관한 많은 장학금이 학술적인 언어로 작성되거나 초중고 교사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저널에 게재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What is going on with these proposals to ban critical race theory in schools?

학교 내 비판적 인종 이론을 금지하는 이 제안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As of mid-May, legislation purporting to outlaw CRT in schools has passed in Idaho, Iowa, Oklahoma, and Tennessee and have been proposed in various other statehouses.

 

5월 중순 현재 아이다호, 아이오와, 오클라호마, 테네시 주에서 학교 내 CRT를 금지하는 법안이 통과되었고 다른 여러 주의회에서도 법안이 발의되었습니다.

 

The bills are so vaguely written that it’s unclear what they will affirmatively cover.

Could a teacher who wants to talk about a factual instance of state-sponsored racism—like the establishment of Jim Crow, the series of laws that prevented Black Americans from voting or holding office and separated them from white people in public spaces—be considered in violation of these laws?

It’s also unclear whether these new bills are constitutional, or whether they impermissibly restrict free speech.

It would be extremely difficult, in any case, to police what goes on inside hundreds of thousands of classrooms. But social studies educators fear that such laws could have a chilling effect on teachers who might self-censor their own lessons out of concern for parent or administrator complaints.

 

법안이 너무 모호하게 작성되어 있어 어떤 내용을 긍정적으로 다룰지 불분명합니다.
미국 흑인의 투표와 공직 임명을 금지하고 공공장소에서 백인과 분리한 일련의 법안인 짐 크로우의 제정과 같이 국가가 후원한 인종차별의 사실적 사례에 대해 이야기하려는 교사가 이 법안을 위반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을까요?
또한 이러한 새로운 법안이 합헌인지, 아니면 언론의 자유를 부당하게 제한하는 것인지도 불분명합니다.
어떤 경우든 수십만 개의 교실 안에서 일어나는 일을 단속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나 사회과 교육자들은 이러한 법안이 학부모나 관리자의 불만을 우려해 자신의 수업을 스스로 검열할 수 있는 교사들에게 위축 효과를 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As English teacher Mike Stein told Chalkbeat Tennessee about the new law: “History teachers can not adequately teach about the Trail of Tears, the Civil War, and the civil rights movement. English teachers will have to avoid teaching almost any text by an African American author because many of them mention racism to various extents.”

 

영어 교사 마이크 스타인은 Chalkbeat 테네시와의 인터뷰에서 새 법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역사 교사들은 눈물의 흔적, 남북전쟁, 민권 운동에 대해 적절하게 가르칠 수 없습니다. 영어 교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작가가 쓴 거의 모든 텍스트에서 인종 차별을 다양하게 언급하기 때문에 이를 가르치는 것을 피해야 할 것입니다.”

 

The laws could also become a tool to attack other pieces of the curriculum, including ethnic studies and “action civics”—an approach to civics education that asks students to research local civic problems and propose solutions.

 

이 법률은 민족 연구와 "행동 시민학"을 포함한 커리큘럼의 다른 부분을 공격하는 도구가 될 수도 있습니다. 행동 시민학은 학생들에게 지역 시민 문제를 조사하고 해결책을 제안하도록 요구하는 시민학 교육 접근 방식입니다.

 

How is this related to other debates over what’s taught in the classroom amid K-12 culture wars?

 

이것은 초중고교 문화 전쟁 속에서 교실에서 가르치는 내용을 둘러싼 다른 논쟁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The charge that schools are indoctrinating students in a harmful theory or political mindset is a longstanding one, historians note. CRT appears to be the latest salvo in this ongoing debate.

 

학교가 학생들에게 해로운 이론이나 정치적 사고방식을 주입하고 있다는 주장은 오래전부터 제기되어 온 문제라고 역사학자들은 지적합니다. CRT는 이 지속적인 논쟁에서 가장 최근에 등장한 것으로 보입니다.

 

In the early and mid-20th century, the concern was about socialism or Marxism. The conservative American Legion, beginning in the 1930s, sought to rid schools of progressive-minded textbooks that encouraged students to consider economic inequality; two decades later the John Birch Society raised similar criticisms about school materials. As with CRT criticisms, the fear was that students would be somehow harmed by exposure to these ideas.

 

20세기 초와 중반에는 사회주의 또는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우려가 있었습니다. 1930년대부터 보수적인 미국 군단은 학생들에게 경제적 불평등을 고려하도록 장려하는 진보적 성향의 교과서를 학교에서 없애려고 노력했고, 20년 후 존 버치 소사이어티는 학교 교재에 대해 비슷한 비판을 제기했습니다. CRT에 대한 비판과 마찬가지로, 학생들이 이러한 사상에 노출되면 어떤 식으로든 해를 입을 수 있다는 우려였습니다.

 

As the school-aged population became more diverse, these debates have been inflected through the lens of race and ethnic representation, including disagreements over multiculturalism and ethnic studies, the ongoing “canon wars” over which texts should make up the English curriculum, and the so-called “ebonics” debates over the status of Black vernacular English in schools.

 

학령 인구가 더욱 다양해지면서 이러한 논쟁은 다문화주의와 민족 연구에 대한 의견 불일치, 영어 교과 과정을 구성하는 텍스트를 둘러싼 지속적인 '정경 전쟁', 학교에서 흑인 모국어 영어의 지위를 둘러싼 이른바 '에보닉스' 논쟁 등 인종 및 민족 대표성의 렌즈를 통해 변형되고 있습니다.

 

In history, the debates have focused on the balance among patriotism and American exceptionalism, on one hand, and the country’s history of exclusion and violence towards Indigenous people and the enslavement of African Americans on the other—between its ideals and its practices. Those tensions led to the implosion of a 1994 attempt to set national history standards.

 

역사적으로 애국주의와 미국 예외주의 사이의 균형, 한편으로는 원주민에 대한 배제와 폭력의 역사, 다른 한편으로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노예화, 즉 이상과 현실 사이의 균형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긴장은 1994년 국가 역사 표준을 정하려는 시도가 무산되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A current example that has fueled much of the recent round of CRT criticism is the New York Times’ 1619 Project, which sought to put the history and effects of enslavement—as well as Black Americans’ contributions to democratic reforms—at the center of American history.

 

최근 CRT에 대한 많은 비판을 불러일으킨 사례로는 노예제도의 역사와 영향, 그리고 민주주의 개혁에 대한 흑인들의 기여를 미국 역사의 중심에 놓으려는 뉴욕타임스의 '1619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The culture wars are always, at some level, battled out within schools, historians say.

“It’s because they’re nervous about broad social things, but they’re talking in the language of school and school curriculum,” said one historian of education. “That’s the vocabulary, but the actual grammar is anxiety about shifting social power relations.”

 

역사학자들은 문화 전쟁은 어느 정도 수준에서는 항상 학교 내에서 벌어진다고 말합니다.
한 교육사학자는 “광범위한 사회 문제에 대해 긴장하고 있지만 학교와 학교 교과과정의 언어로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그것은 어휘이지만 실제 문법은 변화하는 사회적 권력 관계에 대한 불안입니다.”

 

 

 

 

https://www.edweek.org/leadership/what-is-critical-race-theory-and-why-is-it-under-attack/2021/05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