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 타이쿤
- 조회 수 11
https://web.mit.edu/curhan/www/docs/Articles/15341_Readings/Behavioral_Decision_Theory/Kahneman_Tversky_1979_Prospect_theory.pdf
https://apps.dtic.mil/sti/tr/pdf/ADA045771.pdf
https://courses.washington.edu/pbafhall/514/514%20Readings/ProspectTheory.pdf
물론입니다. 아래는 다니엘 카너먼(Daniel Kahneman)과 아모스 트버스키(Amos Tversky)가 1979년에 발표한 논문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의 서론 부분 원문과 그에 대한 한글 번역입니다. 이 논문은 행동경제학의 기초를 이룬 중요한 연구로, 전통적인 기대효용이론(Expected Utility Theory)의 한계를 지적하고 인간이 위험 상황에서 실제로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는지를 설명합니다.
✅ Original English Text (Introduction of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Many decisions are made under conditions of risk. Such decisions are governed by the expected utility theory, which was formalized by von Neumann and Morgenstern. In expected utility theory, a choice among risky prospects is determined by the maximization of expected utility. According to this theory, the utility of an outcome is weighted by its probability, and people choose the option that yields the highest expected utility.
Although expected utility theory has been a dominant model in economics and decision theory, it is not always descriptively adequate. A number of empirical studies have shown that people systematically violate its axioms. For example, people tend to overweight small probabilities and underweight large ones. They also exhibit risk aversion in the domain of gains and risk seeking in the domain of losses—a phenomenon known as the "reflection effect."
In this paper, we develop an alternative account of choice under risk, called prospect theory. This theory modifies the expected utility framework by introducing a value function defined on gains and losses (rather than final wealth), and a weighting function that captures the non-linear perception of probabilities. We show that prospect theory can account for a wide range of empirical findings that are inconsistent with expected utility theory."
✅ 한글 번역
많은 결정은 위험 상황 하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정은 폰 노이만과 모르젠스턴에 의해 공식화된 기대효용이론(expected utility theory)에 따라 설명되어 왔다. 기대효용이론에 따르면, 위험을 수반하는 선택은 기대효용을 극대화함으로써 결정된다. 즉, 각 결과의 효용은 그 확률에 따라 가중되며, 사람들은 기대효용이 가장 높은 선택지를 고른다.
기대효용이론은 경제학과 의사결정 이론에서 오랫동안 지배적인 모델로 여겨져 왔지만, 실제로 사람들이 선택하는 양상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여러 경험적 연구들은 사람들이 이 이론의 공리들을 체계적으로 위반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낮은 확률을 과대평가하고 높은 확률은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득 영역에서는 위험을 회피하고, 손실 영역에서는 위험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를 '반사 효과(reflection effect)'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대효용이론과는 다른 위험 하의 선택 이론을 제안한다. 이를 '기대이론(prospect theory)'이라 부르며, 최종 부(wealth)가 아니라 이득과 손실을 기준으로 정의된 가치함수(value function)와 확률에 대한 비선형적 인식을 반영하는 확률가중함수(weighting function)를 도입한다. 우리는 기대이론이 기대효용이론과 모순되는 다양한 경험적 결과들을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 요약 및 설명
- 기대효용이론의 한계: 현실에서 사람들은 합리적 계산보다 감정, 인지 편향, 기준점(예: 현재 상태)에 따라 결정을 내림.
- 기대이론의 핵심 요소:
- 가치함수(Value Function): S자 곡선 형태. 이득보다 손실에 더 민감함 (손실 회피, loss aversion).
- 확률가중함수(Probability Weighting Function): 확률을 직선적으로 인식하지 않고, 희귀 사건은 과대평가, 일반 사건은 과소평가.
- 반사 효과(Reflection Effect): 이득 상황에선 안전한 선택 선호(위험 회피), 손실 상황에선 위험한 선택 감수(위험 선호).
----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는 1979년 다니엘 카너먼(Daniel Kahneman)과 아모스 트버스키(Amos Tversky)가 Econometrica 저널에 발표한 획기적인 논문입니다. 원문은 학술적 저작권이 적용되어 있으므로 전체 텍스트를 직접 제공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논문의 핵심 개념과 요약을 간략히 설명하고, 한글 번역을 포함한 주요 내용을 안내해 드릴 수 있습니다.
원문 초록 (Abstract) 및 한글 번역
영어 원문: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calculus for decision making under risk. It is called prospect theory. The theory differs from expected utility theory in several respects that are significant for decisions under risk. The value function v(x) is defined on deviations from a reference point and is generally concave for gains and convex for losses. The carrier function π(p) is defined on probabilities and is generally inverse S-shaped. These modifications of Bernoulli's utility theory lead to a new set of axioms for decision making under risk. The theory accounts for many empirical phenomena that are difficult to explain with the expected utility model."
한글 번역:
"이 논문의 목적은 위험 상황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계산 체계인 '전망 이론(Prospect Theory)'을 제안하는 것입니다. 이 이론은 기대효용 이론과 몇 가지 중요한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가치 함수 v(x)는 기준점(reference point)으로부터의 편차를 정의하며, 일반적으로 이익 영역에서는 오목(concave)하고 손실 영역에서는 볼록(convex)합니다. 확률 가중치 함수 π(p)는 확률에 적용되며 일반적으로 역 S자 형태를 띱니다. 베르누이의 효용 이론을 수정한 이러한 체계는 위험 하의 의사결정에 대한 새로운 공리 체계를 제시합니다. 이 이론은 기대효용 모델로 설명하기 어려운 많은 경험적 현상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핵심 개념 요약
-
기준점 종속성 (Reference Dependence):
- 의사결정은 절대적 결과가 아닌 기준점(예: 현재 상태) 에 대한 상대적 변화에 따라 평가됩니다.
- 예: 100만 원을 얻는 것보다 150만 원을 기대하고 100만 원만 얻는 경우, 손실처럼 느껴집니다.
-
손실 회피 (Loss Aversion):
- 동일한 크기의 이익과 손실 중 손실을 약 2배 더 고통스럽게 인식합니다.
- 예: 100만 원을 잃는 것이 100만 원을 얻는 것보다 심리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
확률 가중치 (Probability Weighting):
- 객관적 확률을 왜곡하여 인식합니다.
- 낮은 확률은 과대평가 (예: 복권 구매).
- 높은 확률은 과소평가 (예: 안전을 지나치게 추구).
- 객관적 확률을 왜곡하여 인식합니다.
-
감성차원 분리 (Certainty Effect):
- 확실한 결과(예: 100% 확률)에 과도한 가중치를 부여합니다.
- 예: 95% 승리 확률의 도박보다는 확실한 90% 승리를 선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