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 타이쿤
- 조회 수 325
헛되다는 것은 실제로는 하지 않으면서 마치 실제로 한 것 같은 효과를 노리는 것이고 참되다는 것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체험하는 것이다. 헛된 것을 체험 하는 것의 결과는 허탈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고 참된 것을 체험하는 것의 결과는 기쁨이다.
"To be vain is to seek the effect of having done something without actually doing it.
To be true is to experience something that genuinely exists.
The result of experiencing what is vain is a sense of emptiness,
while the result of experiencing what is true is joy."
"Vainness means trying to achieve the effect of doing something without actually doing it,
while truthfulness means experiencing something that truly exists.
The outcome of experiencing vanity is a feeling of emptiness,
whereas the outcome of experiencing truth is joy."
🧩 문장별 분석
1. "To be vain is to seek the effect of having done something without actually doing it."
▪ 문법 설명:
-
To be vain: “헛되다”라는 상태를 일반화한 표현. “to + 동사”는 명사처럼 쓰여 문장의 주어 역할을 한다.
-
is: 동등함을 나타내는 be 동사
-
to seek: 목적을 나타내는 동사 원형
-
the effect of having done something: ‘무언가를 한 것처럼 보이는 효과’를 뜻하는 구조.
-
having done: 완료 동명사 → 과거에 한 행동을 강조
-
-
without actually doing it: 실제로 하지는 않았음을 강조하는 부사구.
▪ 영어식 사고방식:
-
핵심은 **“겉보기 효과” vs “실제 행동”**이라는 대조.
-
영어는 **“to seek the effect”**와 같이 추상 명사(effect) 중심으로 표현함.
-
한국어는 상태(헛됨)를 강조하는 반면, 영어는 의도와 결과를 구분하여 명확히 논리 구조화함.
2. "To be true is to experience something that genuinely exists."
▪ 문법 설명:
-
To be true: ‘참되다’라는 상태를 일반화.
-
to experience: ‘체험하는 것’을 설명함
-
something that genuinely exists:
-
that exists: 관계절로 ‘존재하는 것’을 설명
-
genuinely: 진정으로 (부사)
-
▪ 영어식 사고방식:
-
핵심은 “존재하는 것”을 체험함이 진리라는 철학적 구조.
-
영어는 추상적인 ‘참됨’을 구체적인 체험 경험으로 연결함 → 철학적 개념도 구체적 행위로 설명하려는 경향
3. "The result of experiencing what is vain is a sense of emptiness,"
▪ 문법 설명:
-
The result of ~ing: ~한 결과
-
experiencing what is vain: ‘헛된 것을 체험하는 것’
-
a sense of emptiness: ‘허탈감’이라는 감정 표현
-
a sense of ~: 느낌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
-
▪ 영어식 사고방식:
-
감정(허탈감)을 **“a sense of ~”**라는 인지적 결과로 묘사
-
**“무엇을 했을 때 어떤 느낌이 오는가”**를 구조적으로 분해해서 설명
4. "while the result of experiencing what is true is joy."
▪ 문법 설명:
-
while: 반대/대조를 나타내는 접속사
-
나머지 구조는 위와 동일함
▪ 영어식 사고방식:
-
반대 개념을 나열할 때, 영어는 **“while”**을 활용해 두 생각을 비교하거나 균형 있게 나열함.
-
**감정 상태(joy)**도 **“결과(result)”**라는 논리 구조로 표현.
📌 정리: 영어식 사고방식 요약
항목 | 영어식 사고 | 한국어식 사고 |
---|---|---|
주어 표현 | 개념을 일반화: “To be vain” | 상태나 형용사 강조: “헛되다” |
감정 표현 | “a sense of emptiness” (감정 = 인지된 결과) | “허탈감” (직접적 감정 묘사) |
철학적 개념 설명 | “to experience something that exists” → 체험 중심 | “존재하는 것을 체험한다” → 상태 중심 |
비교 구조 | “while”을 사용한 병렬 구조 | 보통 따로 나눠 표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