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타이쿤
  • 조회 수 17

Javier Milei: President of Argentina, Libertarian, Anarcho-Capitalist, and Economist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Javier Milei is the President of Argentina, identified as a Libertarian, anarcho-capitalist, and Economist. He gained recognition during his campaign by using a chainsaw to symbolize his promise to dismantle the corrupt state bureaucracy. He took office approximately one year ago, at a time when Argentina was on the verge of hyperinflation, significant debt, and widespread unemployment and poverty.

Economic Philosophy and Ideals:

• Milei explicitly states he is an anarcho-capitalist, expressing disdain for the state, government, and violence. This represents his ideal world.

• He defines liberalism as "the unrestricted respect for the life project of others based on the principle of non-aggression and in defense of the right to life, Liberty and property".

• In practical terms, he describes himself as a minarchist, working to minimize the size of the state and eliminate regulations due to real-world limitations.

• His understanding of freedom, particularly economic freedom, began to deepen in 2013-2014 when he observed historical GDP per capita data, noting the dramatic increase after 1800 and the associated improvements in living standards and poverty reduction.

• He cites reading Murray Newton Rothbard's "Monopoly and Competition" as a "true revolution" in his understanding of market structure, leading him to intensively study the Austrian School of Economics including authors like Mises, Hayek, and Rothbard.

• Milei believes the market is the most effective mechanism for resource allocation developed by humankind, defining it as a "process of voluntary exchange where individuals cooperate through the transfer of property rights in which private property is upheld." He posits that "market failures do not exist".

• He asserts that only two economic systems exist: free enterprise capitalism and socialism, and any intermediate solution is inherently unstable and tends towards socialism.

Economic Reforms and Achievements in Argentina:

• Upon assuming office, Argentina faced dire conditions: daily inflation of 1% (annualized 3700%), nearly 50% poverty, a fiscal deficit of 15% of GDP, and negative central bank reserves.

• His administration implemented the largest structural reform in Argentine history, reportedly "eight times larger than menim".

• Key reforms and outcomes include:

◦ Reducing government ministries to fewer than half (now eight).

◦ Dismissing approximately 50,000 civil employees and halting public works.

◦ Eliminating discretionary transfers to provinces and economic subsidies, restoring utility rates.

◦ Achieving fiscal balance in January, the first month of his administration, a feat widely considered impossible.

◦ Eliminating "poverty managers," intermediaries who had been extorting social welfare recipients, allowing the poor to receive double the resources.

◦ Implementing a 15-point fiscal adjustment of GDP, which he claims is the "biggest fiscal adjustment in the history of humanity," with most of it benefiting the people through lower inflation.

◦ Significantly reducing wholesale inflation from 54% to 2% and bringing the annualized inflation rate down from 17,000% to around 28%. He states the true monetary inflation is 0.2% per month, equivalent to 2.4% annually.

◦ Voluntarily cleaning up the central bank's balance sheet by $45 billion within six months, without resorting to price controls or fixed exchange rates.

◦ Argentina has jumped 90 places in economic freedom due to these reforms, with the goal of becoming the "freest country in the world".

◦ Despite predictions of economic collapse, the economy showed recovery, and he projects ending the year with less inflation, fewer poor people, better real wages, and a higher GDP. Poverty decreased from 57% to 46%.

◦ He cites an economist's work suggesting that their fiscal actions alone could double Argentina's GDP per capita in 10 years, achieving 7% annual growth rates.

Challenges and Opposition ("The Caste"):

• Milei faces substantial criticism, particularly from the "corrupt establishment" and citizens wary of the short-term pain of his policies.

• He actively combats corruption by:

◦ Ending 900 annual roadblocks, which were a source of extortion by "poverty managers".

◦ Eliminating corruption in public works and discretionary transfers to provinces.

◦ His Ministry of Human Capital is actively filing court complaints against corruption.

◦ His government has seen convictions for corruption, including Christina Fernandez de Kushner, and has acted against privileged pensions.

• He views the media as profoundly corrupt, stating that 85% of what is published in Argentine newspapers is false. He believes journalists act as "liars, slanderers and defamers" and "extortionists" due to their former "monopoly over the microphone".

• He criticizes "useless" liberals/libertarians who spend their time criticizing those fighting for freedom, arguing that such actions are "functional to socialism" because "power is a zero-sum game".

Broader Fight for Freedom:

• Milei views his fight as encompassing freedom in all aspects of life, beyond just economics.

• He contends that after the fall of the Berlin Wall, socialism (cultural Marxism) shifted its "class struggle" to areas like gender ideology, environmentalism (climate change), Black Lives Matter, and LGBT agendas, using these as pretexts for taxation and societal division.

• He emphasizes the necessity of fighting on three fronts: economic (free enterprise capitalism), political (liberal democracy), and cultural. He attributes past collapses (like in Chile) to the neglect of the cultural battle by liberals, allowing socialism to infiltrate institutions and media.

• He expresses a willingness to "die with my boots on" for his values, viewing a life without freedom as meaningless and drawing inspiration from figures like Moses.

Allies and Influences:

• Milei expresses immense admiration for Elon Musk, viewing him as an "unconventional person" and a "great Fighter for the ideas of Freedom" for his role in exposing "the Socialist virus, the woke virus" through X (Twitter). Musk is interested in replicating Argentina's deregulation model.

• He admires Donald Trump for his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battle, his open confrontation with socialism, and his courage in facing adversity and media attacks. Trump also supports reducing regulations and public spending.

• Argentina's geopolitical alignment is with the United States and Israel, as they represent the "Western World" and "free world". He seeks to deepen trade and investment ties and potentially join NATO.

• His long-term goal remains "currency competition" and the elimination of the central bank, allowing people to choose their currency, which he believes will lead to an "endogenous dollarization" as the economy stabilizes and grows.

Personal Insights:

• Milei's past as a goalkeeper in his youth significantly influenced him, teaching him the solitude of decision-making and the direct impact of mistakes, akin to a president affecting millions.

• He embraces his nickname "El Loco" (the madman), seeing it as a matter of perspective, and noting that many historical figures who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 were initially perceived as crazy.

• His famous rallying cry, "Viva la Libertad Carajo!" (Long Live Freedom, Damn It!), encapsulates his deep faith, a reference to divine intervention in battles (Maccabees 3:19), and his unwavering commitment to freedom.

• He attributes his understanding of unconditional love to his dogs, considering them "superior beings" and connecting it to his own virtue of loyalty.

• His advice to young people is to define what makes them happy, live consistently by it, and "never give up" or "be half-hearted".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의 대통령, 자유지상주의자, 아나코-자본주의자, 그리고 경제학자

하비에르 밀레이는 아르헨티나의 대통령이며, 자유지상주의자, 아나코-자본주의자, 경제학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부패한 국가 관료주의를 해체하겠다는 약속을 상징하는 전기톱을 사용하여 선거 운동 기간 동안 인지도를 얻었습니다. 그는 약 1년 전, 아르헨티나가 초인플레이션, 심각한 부채, 광범위한 실업과 빈곤 직전에 있을 때 대통령직에 취임했습니다.

경제 철학 및 이상:

• 밀레이는 자신이 아나코-자본주의자임을 명확히 밝히며, 국가, 정부, 폭력을 경멸합니다. 이것은 그의 이상적인 세상을 나타냅니다.

• 그는 자유주의를 "비침해 원칙에 기반하고 생명, 자유 및 재산권 수호를 위한 타인의 삶의 프로젝트에 대한 무제한적 존중"으로 정의합니다.

• 실질적으로 그는 자신을 **미나키스트(Minarchist)**라고 묘사하며, 현실적인 제약 때문에 국가의 규모를 최소화하고 규제를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자유, 특히 경제적 자유에 대한 그의 이해는 2013-2014년에 깊어지기 시작했는데, 그는 1800년 이후 1인당 GDP 데이터의 극적인 증가와 그에 따른 생활 수준 향상 및 빈곤 감소를 관찰했습니다.

• 그는 머레이 뉴턴 로스바드의 "독점과 경쟁(Monopoly and Competition)"을 읽은 것이 시장 구조에 대한 이해에 **"진정한 혁명"**을 가져왔다고 언급하며, 미제스, 하이에크, 로스바드와 같은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들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게 되었습니다.

• 밀레이는 시장이 인류가 개발한 가장 효과적인 자원 배분 메커니즘이라고 믿으며, 이를 "사적 재산이 유지되는 재산권 이전을 통해 개인이 협력하는 자발적 교환 과정"으로 정의합니다. 그는 "시장 실패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 그는 오직 두 가지 경제 시스템, 즉 자유 기업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만 존재하며, 그 어떤 중간 해결책도 본질적으로 불안정하며 사회주의로 향하는 경향이 있다고 단언합니다.

아르헨티나의 경제 개혁 및 성과:

• 밀레이 취임 당시 아르헨티나는 암울한 상황에 처해 있었습니다. 하루 1%의 인플레이션(연간 3700%), 거의 50%에 달하는 빈곤, GDP의 15%에 달하는 재정 적자, 마이너스 중앙은행 외환 보유고가 그것입니다.

• 그의 행정부는 아르헨티나 역사상 가장 큰 구조 개혁을 단행했는데, 이는 "메넴(Menem) 정부의 8배 규모"라고 합니다.

• 주요 개혁 및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부 부처를 절반 이하로 축소했습니다(현재 8개).

◦ 약 5만 명의 공무원을 해고하고 공공 사업을 중단했습니다.

◦ 지방으로의 재량적 이전과 경제 보조금을 없애고 공공 요금을 정상화했습니다.

◦ 취임 첫 달인 1월에 재정 균형을 달성했으며, 이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일이었습니다.

◦ 사회 복지 수급자들을 갈취했던 "빈곤 관리자(poverty managers)"(중개인)를 제거하여 가난한 사람들이 두 배의 자원을 받을 수 있게 했습니다.

◦ GDP의 15포인트 규모의 재정 조정을 시행했으며, 그는 이를 "인류 역사상 가장 큰 재정 조정"이라고 주장하며, 대부분이 낮은 인플레이션을 통해 국민에게 혜택으로 돌아갔다고 말합니다.

◦ 도매 인플레이션을 54%에서 2%로 크게 줄였고, 연간 인플레이션율을 17,000%에서 약 28%로 낮췄습니다. 그는 진정한 통화 인플레이션은 월 0.2%로, 연간 2.4%에 해당한다고 말합니다.

◦ 중앙은행 대차대조표를 6개월 이내에 450억 달러 자발적으로 정리했으며, 가격 통제나 고정 환율에 의존하지 않았습니다.

◦ 이러한 개혁 덕분에 아르헨티나는 경제 자유도에서 90계단 상승했으며, "세계에서 가장 자유로운 국가"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경제 붕괴 예측에도 불구하고 경제는 회복세를 보였으며, 그는 연말에 인플레이션 감소, 빈곤층 감소, 실질 임금 상승, GDP 증가를 예상합니다. 빈곤율은 57%에서 46%로 감소했습니다.

◦ 그는 한 경제학자의 연구를 인용하여 자신들의 재정 조치만으로 아르헨티나의 1인당 GDP를 10년 안에 두 배로 늘릴 수 있으며, 연간 7%의 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도전과 반대("카스트"):

• 밀레이는 "부패한 기득권층"과 그의 정책이 가져올 단기적인 고통을 우려하는 시민들로부터 상당한 비판에 직면해 있습니다.

• 그는 부패에 적극적으로 맞서 싸우고 있습니다:

◦ 연간 900건에 달하던 도로 봉쇄를 종식시켰는데, 이는 "빈곤 관리자"들의 갈취 원천이었습니다.

◦ 공공 사업 및 지방에 대한 재량적 이전에서의 부패를 없앴습니다.

◦ 그의 인적 자원부는 부패에 대해 법원에 적극적으로 고소하고 있습니다.

◦ 그의 정부는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쿠쉬너를 포함한 부패에 대한 유죄 판결을 이끌어냈고, 특혜 연금에도 조치를 취했습니다.

• 그는 언론을 심각하게 부패했다고 보며, 아르헨티나 신문에 실리는 내용의 85%가 거짓이라고 말합니다. 그는 언론인들이 과거 "마이크에 대한 독점" 때문에 "거짓말쟁이, 비방자, 명예훼손자"이자 "갈취자"로 행동한다고 믿습니다.

• 그는 자유를 위해 싸우는 사람들을 비판하는 "쓸모없는" 자유주의자/자유지상주의자들을 비판하며, 그러한 행동이 "사회주의에 기능적"이라고 주장합니다. 왜냐하면 "권력은 제로섬 게임"이기 때문입니다.

자유를 위한 더 넓은 싸움:

• 밀레이는 자신의 싸움을 경제뿐만 아니라 삶의 모든 측면에서 자유를 포괄하는 것으로 봅니다.

• 그는 베를린 장벽 붕괴 후 사회주의(문화 마르크스주의)가 "계급 투쟁"을 젠더 이데올로기, 환경주의(기후 변화), Black Lives Matter, LGBT 의제와 같은 영역으로 옮겨갔으며, 이를 세금 부과와 사회 분열을 위한 구실로 사용한다고 주장합니다.

• 그는 세 가지 전선에서 싸워야 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경제(자유 기업 자본주의), 정치(자유민주주의), 문화적 전선입니다. 그는 과거의 붕괴(칠레처럼)가 자유주의자들이 문화적 싸움을 소홀히 하여 사회주의가 제도와 미디어에 침투하도록 허용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말합니다.

• 그는 자신의 가치를 위해 "부츠를 신고 죽을" 각오가 되어 있다고 표현하며, 자유 없는 삶은 무의미하다고 보고 모세와 같은 인물에게서 영감을 얻습니다.

동맹 및 영향:

• 밀레이는 일론 머스크에게 엄청난 존경심을 표하며, 그를 "비전통적인 인물"이자 "자유 사상을 위한 위대한 투사"로 보고, X(트위터)를 통해 "사회주의 바이러스, 워크 바이러스"를 폭로하는 역할을 높이 평가합니다. 머스크는 아르헨티나의 규제 완화 모델을 복제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 그는 도널드 트럼프를 문화적 싸움에 대한 이해, 사회주의와의 공개적인 대결, 역경과 언론의 공격에 맞서는 용기로 인해 존경합니다. 트럼프 또한 규제와 공공 지출 축소를 지지합니다.

• 아르헨티나의 지정학적 정렬은 미국과 이스라엘과 함께인데, 이들이 "서구 세계"와 "자유 세계"를 대표하기 때문입니다. 그는 무역 및 투자 관계를 심화하고 NATO에 가입하는 것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그의 장기적인 목표는 여전히 "통화 경쟁"과 중앙은행의 폐지이며, 사람들이 자신들의 통화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는 경제가 안정되고 성장함에 따라 "내생적 달러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믿습니다.

개인적인 통찰:

• 밀레이의 젊은 시절 골키퍼 경험은 그에게 큰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수백만 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대통령처럼 의사 결정의 고독과 실수의 직접적인 영향을 가르쳐 주었습니다.

• 그는 자신의 별명인 **"엘 로코"(미친 사람)**를 받아들이며, 이를 관점의 문제로 보고, 큰 변화를 가져온 많은 역사적 인물들이 처음에는 미쳤다고 인식되었다고 언급합니다.

• 그의 유명한 구호인 **"비바 라 리베르타드 카라호!" (자유 만세, 제기랄!)**는 그의 깊은 신념, 전투에서의 신성한 개입(마카베오서 3:19)에 대한 언급, 그리고 자유에 대한 그의 변함없는 헌신을 담고 있습니다.

• 그는 개들로부터 무조건적인 사랑을 배웠다고 말하며, 그들을 "우월한 존재"로 여기고 자신의 충성심과 연결시킵니다.

• 젊은이들에게 주는 그의 조언은 자신을 행복하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의하고, 그것에 따라 일관되게 살아가며, "절대 포기하지 말고" 또는 "어중간하게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8NLzc9kobDk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