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타이쿤
  • 조회 수 22

Chris Mayer is the Editor of Bonner & Partners. After 11 years with Agora Financial Chris joined Bonner & Partners to develop a first-of-its-kind investment advisory. Launched in April 2016, Bonner Private Portfolio is the only trading service ever to be actively followed by Bill Bonner. Chris’s latest project, Chris Mayer’s Focus, launched in September 2016. This advisory provides in-depth, hedge-fund quality analysis on a select group of small-cap stocks with the potential to become the next Starbucks, Walmart, or Berkshire Hathaway. Chris also shares his investing wisdom through books: Invest Like a Dealmaker: Secrets From a Former Banking Insider, World Right Side Up: Investing Across Six Continents, and 100 Baggers: Stocks That Return 100-to-1 and How to Find Them.

 

크리스 메이어는 보너앤파트너스의 편집자입니다. 아고라 파이낸셜에서 11년간 근무한 후, 크리스는 보너앤파트너스에 합류하여 업계 최초의 투자 자문 서비스를 개발했습니다. 2016년 4월 출시된 보너 프라이빗 포트폴리오(Bonner Private Portfolio)는 빌 보너가 적극적으로 팔로우하는 유일한 트레이딩 서비스입니다. 크리스의 최신 프로젝트인 크리스 메이어의 포커스(Chris Mayer's Focus)는 2016년 9월에 출시되었습니다. 이 자문 서비스는 차세대 스타벅스, 월마트, 버크셔 해서웨이가 될 잠재력을 가진 일부 소형주에 대한 심층적이고 헤지펀드 수준의 분석을 제공합니다. 크리스는 또한 자신의 투자 지혜를 다음과 같은 저서들을 통해 공유합니다. 『Invest Like a Dealmaker: Secrets From a Former Banking Insider』, 『World Right Side Up: Investing Across Six Continents』, 『100 Baggers: Stocks That Return 100-to-1 and How to Find Them』.

 

https://www.earlytorise.com/4-simple-things-you-should-do-to-succeed-in-the-stock-market/

Author Nassim Taleb calls it “the Bob Rubin Trade.”

Bob Rubin, as you may remember, was Treasury Secretary during the Clinton administration. He also worked for Citigroup from November 2007 to June 2009.

For that stint, he received more than $120 million in compensation. When Citigroup went belly-up in the financial crisis and the Fed rescued it, Rubin didn’t give back any of his money.

Rubin had no skin in the game. He got paid handsomely while his bank took enormous risks. But he was insulated from any bad consequences of taking those risks. The shareholders and taxpayers bore the cost.

As Taleb notes, our financial system is rife with insiders riding a Bob Rubin Trade. Risks accumulate and then—boom—the blowup happens.

This is why we pay careful attention to incentives. When they are out of whack, bad things happen.

Invest with people who have skin in the game. It’s my No. 1 investing rule.

In fact, I recently contributed a chapter to “Harriman’s New Book of Investing Rules: The Do’s And Don’ts of the World’s Best Investors,” edited by Christopher Parker. Skin in the game was my first rule.

(The following section is republished with permission.)

 

저자 나심 탈레브는 이를 "밥 루빈 트레이드"라고 부릅니다.

기억하시겠지만 밥 루빈은 클린턴 행정부 시절 재무장관이었습니다. 그는 2007년 1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시티그룹에서 근무했습니다.

그 기간 동안 그는 1억 2천만 달러 이상의 보상을 받았습니다. 시티그룹이 금융 위기로 파산하고 연준이 구제금융을 제공했을 때, 루빈은 돈을 한 푼도 돌려주지 않았습니다.

루빈은 이 일에 관여하지 않았습니다. 그의 은행이 엄청난 위험을 감수하는 동안 그는 두둑한 보수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그는 그 위험 감수에 따른 부정적인 결과로부터는 자유로웠습니다. 주주와 납세자들이 그 비용을 부담했습니다.

탈레브가 지적했듯이, 우리 금융 시스템은 밥 루빈 트레이드를 이용하는 내부자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위험은 누적되고, 그러다가 폭발적인 파동이 일어납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인센티브에 주의를 기울이는 이유입니다. 인센티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나쁜 일이 발생합니다.

투자에 대한 열정이 있는 사람들과 함께 투자하세요. 제 투자 원칙 중 하나입니다.

사실, 저는 최근 크리스토퍼 파커가 편집한 "해리먼의 새로운 투자 규칙: 세계 최고의 투자자들이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에 한 장을 기고했습니다. 투자에 대한 열정이 제 첫 번째 원칙이었습니다.

(다음 부분은 허가를 받아 재게재되었습니다.)

 

 

2. Be patient.


Phil Carret was a longtime investor, right up until his death in 1998 at the age of 101. Warren Buffett called him “one of my heroes.”

In 1996, Louis Rukeyser interviewed him on TV and asked: “What is the single most important thing that you have learned about investing over the past three quarters of a century?”

Carret’s reply: “Patience.”

I’ve never forgotten this exchange. Harvesting the power of compounding lies at the heart of investing successfully. And the power of compounding needs time to work. You won’t reap its rewards if you keep yanking out your money, like pulling your tomato plants before they bear fruit.

Here’s an example I like: If you take a penny and double it every day for 30 days, you’ll have $10.7 million on the last day. That shows you two things.

First, it shows you the power of compounding. But it also shows you that returns are back-end loaded. After all, if you have $10.7 million on the 30th day, how much do you have on the 29th day? The answer is $5.35 million. And on the 28th day? Just $2.6 million. Think about that.

Another reason why patience is important: Even the best investments go through periods in which they go nowhere. Or worse.

My favorite story here comes from Chris Mittleman at Mittleman Investment Management. Imagine, he says, if a friend had introduced you to Warren Buffett in 1972 and told you how much money he made through his firm. You check it out and find that Berkshire Hathaway had gone from about $8 in 1962 to $80 at the end of 1972. So, you buy the stock for $80 on December 31, 1972.

Three years later, you’d be down 53%. And to make you feel worse, the S&P 500 was only down 14%. So you sell in disgust. What a mistake. By December 31, 1982, the stock would rise to $775—on its way to $272,000 today.

Investing is a game that rewards sitting on your hands.

I like to study the track records of great investors. One thing I’ve learned is that no investor is great all the time.

 

Four Simple Things You Should Do to Succeed in the Stock Market


1. Invest with people who have skin in the game.

“My experience as a money manager suggests that entrepreneurial instinct equates with sizable equity ownership.” —Martin Sosnoff, “Silent Investor, Silent Loser”

I have to agree with Mr. Sosnoff, a tough-minded, sharp-tongued money manager who only recently hung up his spurs after 50 years in the saddle. (He also penned a few delightfully quotable books about his experiences. My favorite is “Humble on Wall Street” from 1975.)

I lead off with Sosnoff’s quote because I’ve absorbed its deep lesson in my own career. And if I could share just one investing strategy with you, it would be this: Invest with people who have skin in the game.

There is a lot of research to support the idea that stocks with significant insider ownership outperform their peers. It also makes intuitive sense.

Owners do things hired guns don’t do. Sometimes these things can be small, but they add up over time.

For example, I remember reading an IHS Markit study that looked at over 3,000 public companies and found that just 225 paid special dividends in the fourth quarter of 2012—ahead of looming tax increases. The average insider ownership of those 225 companies was 25% (that’s extremely high). Owners think about things like taxes.

Equity ownership is the best form of skin in the game. As the old saying goes, “No one washes a rental.” But it is not the only one. Pay attention to the incentives of the management team before you invest alongside them. Look at compensation schemes. Do they reward per share value creation? Do they use meaningful metrics such as return on invested capital, or do they just focus on a less relevant number, such as earnings?

Read the proxy. It is the most important disclosure companies make and the one I start with. (In the U.S., the proxy—known as Form DEF 14A—details stock ownership, management compensation, and more.)

The key idea is that you want to invest with management teams that think like owners. That’s easier to do when they are owners to start with.

 

주식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 해야 할 네 가지 간단한 것

1. 투자에 대한 열정이 있는 사람들에게 투자하세요.
"자산 관리자로서 제 경험에 따르면 기업가적 본능은 상당한 주식 소유와 동일시됩니다." —마틴 소스노프, "침묵의 투자자, 침묵의 패배자"

50년간의 경력을 마감하고 최근에야 은퇴한, 강인하고 날카로운 언변의 자산 관리자, 소스노프 씨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몇 권의 명언을 남겼습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책은 1975년에 출간된 "월가의 겸손"입니다.)

소스노프 씨의 명언으로 시작하겠습니다. 저는 제 경력에서 그 깊은 교훈을 체득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여러분께 단 하나의 투자 전략을 공유해 드릴 수 있다면, 바로 이것입니다. 투자에 대한 열정이 있는 사람들에게 투자하세요.

내부자 지분이 많은 주식이 다른 주식보다 수익률이 높다는 생각을 뒷받침하는 많은 연구가 있습니다. 또한 직관적으로도 타당합니다.

소유주는 용병들이 하지 않는 일을 합니다. 때로는 이러한 일들이 사소해 보일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쌓입니다.

예를 들어, 3,000개가 넘는 상장 기업을 조사한 IHS Markit 연구를 읽은 기억이 납니다. 그 결과, 2012년 4분기에 세금 인상이 임박했음에도 불구하고 특별 배당금을 지급한 기업은 225개에 불과했습니다. 이 225개 기업의 평균 내부자 지분율은 25%였습니다(매우 높은 수치입니다). 소유주는 세금 같은 문제도 생각합니다.

주식 소유는 이 게임에서 가장 좋은 형태의 자산입니다. 옛말에 "임대료는 세탁하지 않는다"라는 말이 있지만, 그것만이 유일한 것은 아닙니다. 경영진과 함께 투자하기 전에 경영진의 인센티브를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보상 체계를 살펴보세요. 주당 가치 창출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가? 투자 자본 수익률(ROC)과 같은 의미 있는 지표를 사용하는가, 아니면 순이익과 같은 덜 중요한 수치에만 집중하는가?

대리인 정보를 읽어보세요. 이는 기업이 공개하는 가장 중요한 정보이며, 저도 그 정보부터 시작합니다. (미국에서는 DEF 14A 양식으로 알려진 위임장(proxy)에 주식 소유권, 경영진 보상 등에 대한 세부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핵심은 소유주처럼 생각하는 경영진과 함께 투자하는 것입니다. 경영진이 소유주일 때 투자하기가 더 쉽습니다.

 

2. 인내심을 가지세요.


필 캐럿은 1998년 10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오랜 기간 투자자였습니다. 워런 버핏은 그를 "나의 영웅 중 한 명"이라고 불렀습니다.

1996년, 루이스 루카이저는 그에게 TV 인터뷰를 하며 "지난 75년 동안 투자에 대해 배운 가장 중요한 교훈은 무엇입니까?"라고 물었습니다.

캐럿의 대답은 "인내심"이었습니다.

저는 이 대화를 결코 잊지 못합니다. 복리의 힘을 활용하는 것이 성공적인 투자의 핵심입니다. 그리고 복리의 힘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마치 토마토가 열매를 맺기 전에 뽑아내듯이 계속해서 돈을 뽑아낸다면 그 효과를 누릴 수 없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1페니를 30일 동안 매일 두 배로 불린다면 마지막 날에 1,070만 달러가 될 것입니다. 이는 두 가지를 보여줍니다.

첫째, 복리의 힘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이는 수익률이 백엔드(backend) 방식으로 계산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30일차에 1,070만 달러를 가지고 있다면 29일차에는 얼마를 가지고 있을까요? 정답은 535만 달러입니다. 28일차에는요? 260만 달러입니다. 생각해 보세요.

인내심이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아무리 좋은 투자라도 아무런 성과도 없는 시기를 겪기 때문입니다. 더 나쁜 시기도 있죠.

제가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는 미틀먼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크리스 미틀먼의 이야기입니다. 그는 1972년에 친구가 워런 버핏을 소개해 주고 그가 회사를 통해 얼마나 많은 돈을 벌었는지 이야기해 주었다고 상상해 보라고 말합니다. 버크셔 해서웨이 주가가 1962년 약 8달러에서 1972년 말 80달러로 올랐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 1972년 12월 31일에 80달러에 그 주식을 샀습니다.

3년 후, 당신은 53%의 손실을 보게 될 것입니다. 설상가상으로 S&P 500 지수는 14%밖에 하락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당신은 짜증을 내며 매도했습니다. 정말 큰 실수였습니다. 1982년 12월 31일까지 주가는 775달러까지 올랐고, 지금은 27만 2천 달러까지 치솟았습니다.

투자는 손 놓고 앉아 있는 것만으로도 보상이 따르는 게임입니다.

저는 훌륭한 투자자들의 실적을 연구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제가 깨달은 한 가지는, 어떤 투자자도 항상 훌륭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3. Don’t expect to win all the time.

A 2011 study by investment firm Davis Advisors looked at a universe of 190 mutual fund managers whose 10-year performances put them in the top 25 for the decade ending December 31, 2011.

Davis Advisors then posed an interesting question: What percentage of these top performers had at least one rolling three-year period during which they put up lousy numbers? More specifically, what percentage of these top managers put up numbers in a three-year period where they were at the bottom 25%?

The answer may shock you: 96%.

In other words, almost all of them. Moreover, a third of them spent at least one three-year period where they were in the bottom 10%—meaning 90% of their peers beat these top dogs for at least a three-year period.

Another good example is Sir John Templeton. He started the Templeton Growth Fund in 1954. This would be his flagship fund. The average return was about 16% per year for 38 years under his watch. This was almost four points better than the market over that time, an astonishing record. If you had put $10,000 with Templeton in 1954 and left it there, you would’ve had $1.7 million when he stepped down in 1992. That’s a 170-fold return. He did this without using debt, and often had excess cash.

And yet, his fund lost money in 10 of those 38 years—more than 25% of the time.

Investment returns in any given year mean very little. They ebb and flow in unpredictable and uneven ways. If you chase performance, you’re apt to sell out of ideas just as they are about to turn up—and buy into ideas just as they are peaking.

Don’t chase performance.

 

3. 항상 이길 거라고 기대하지 마세요.
투자 회사 데이비스 어드바이저스(Davis Advisors)가 2011년에 실시한 연구는 2011년 12월 31일까지 10년간 상위 25위 안에 드는 190명의 뮤추얼 펀드 매니저들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데이비스 어드바이저스는 흥미로운 질문을 던졌습니다. 이 최고 실적 매니저들 중 몇 퍼센트가 3년 연속으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을까요? 더 구체적으로, 이 최고 매니저들 중 몇 퍼센트가 3년 연속으로 하위 25%에 해당하는 실적을 기록했을까요?

정말 놀라운 답입니다. 96%입니다.

다시 말해, 거의 전부입니다. 게다가 이들 중 3분의 1은 최소 한 번 이상 3년 동안 하위 10%에 해당하는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즉, 경쟁 매니저의 90%가 이 최고 매니저들을 최소 3년 동안 이겼다는 뜻입니다.

또 다른 좋은 예는 존 템플턴 경입니다. 그는 1954년에 템플턴 그로스 펀드(Templeton Growth Fund)를 설립했습니다. 이 펀드는 그의 주력 펀드가 되었습니다. 그의 감독 하에 38년 동안 연평균 수익률은 약 16%였습니다. 이는 같은 기간 시장 수익률보다 거의 4포인트 높은 놀라운 기록이었습니다. 만약 1954년에 템플턴에 1만 달러를 투자하고 그대로 두었다면, 그가 1992년 사임했을 때 170만 달러가 있었을 것입니다. 무려 170배의 수익률입니다. 그는 부채 없이 투자했고, 여유 자금도 많았습니다.

그런데도 그의 펀드는 38년 중 10년 동안 손실을 봤습니다. 25%가 넘는 기간 동안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매년 투자 수익률은 거의 의미가 없습니다. 수익률은 예측 불가능하고 고르지 않게 오르락내리락합니다. 성과를 좇다 보면, 아이디어가 떠오르기 직전에 매도하고, 정점에 도달했을 때 매수하기 쉽습니다.

성과를 좇지 마세요.

 

4. Don’t diversify too much.

Most people own way too many stocks. I’ve seen personal portfolios with 30 or 40 stocks. That’s ridiculous. There is no way a single person can follow all those names or know much worth knowing about any of them.

Further, I’d ask you this: Is your 30th best idea really worth owning? How about your 29th best idea? I always tell people to concentrate their investing. I think 10–15 names is a good number. Maybe even fewer.

I always remember what Joel Greenblatt said. Greenblatt compiled an enviable track record running Gotham Capital and later wrote books about his methods. Greenblatt pointed out that owning just eight stocks in different industries eliminates about 80% of the non-market risk (or the risk not related to the overall market’s movements). And 16 stocks will eliminate 93% of that risk.

In other words, after a point, adding more stocks doesn’t do you any good as far as reducing risk.

Besides this, there is all kinds of research out there that shows the best returns often come from concentrated portfolios. I’d point you to the book “Concentrated Investing” for more. The book includes profiles of investors who ran such concentrated portfolios.

Lou Simpson was one of them. He ran GEICO’s investment portfolio from 1979 until his retirement in 2010. His record is extraordinary: 20% annually, compared to 13.5% for the market.

Simpson’s reason for concentrating his portfolio was a simple one: “Good investment ideas, that is, companies that meet our criteria, are difficult to find. When we think we have found one, we make a large commitment.”

Simpson’s focus increased over time. In 1982, he had 33 stocks in a $280 million portfolio. He kept cutting back the number of stocks he owned, even as the size of his portfolio grew. By 1995, his last year, he had just 10 stocks in a $1.1 billion portfolio.

Now, this runs counter to almost everything you’ll hear from financial advisors. And it could be dangerous advice if you don’t know what you’re doing. But my contention is you are likely to do much better if you focus only on your best ideas, the ones you really know something about, rather than spreading your bets under the mistaken belief that you’re safer.

[To read the other fine contributions, look for “Harriman’s New Book of Investing Rules” on Amazon. It’s a big, fat book, with over 500 pages and lots of interesting things in it. Worth the price. And for expert advice on investing in the current market, visit more Chris Mayer content on Bonner and Partners.]

 

2,539 / 5,000

4. 너무 다각화하지 마세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식을 너무 많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저는 30~40개 주식으로 구성된 개인 포트폴리오를 본 적이 있습니다. 말도 안 되는 일입니다. 한 사람이 그 모든 주식을 다 따져보거나 그 중 하나에 대해 알 만한 가치가 있는 정보를 얻을 수는 없습니다. 더 나아가 이렇게 질문해 보겠습니다. 당신의 30번째로 좋은 아이디어는 정말 소유할 가치가 있을까요? 29번째로 좋은 아이디어는 어떨까요? 저는 항상 사람들에게 집중 투자를 하라고 말합니다. 10~15개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더 적을 수도 있습니다. 저는 항상 조엘 그린블랫의 말을 기억합니다. 그린블랫은 고담 캐피털을 운영하며 부러울 만한 실적을 쌓았고, 나중에 자신의 투자 방법에 대한 책을 썼습니다. 그린블랫은 서로 다른 산업의 주식 8개만 보유해도 비시장 위험(즉, 전체 시장의 움직임과 관련 없는 위험)의 약 80%를 제거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리고 16개 주식을 보유하면 그 위험의 93%를 제거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시 말해, 어느 시점이 지나면 주식을 더 많이 추가하더라도 위험 감소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이 외에도, 집중 포트폴리오에서 최고의 수익률을 얻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다양한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집중 투자(Concentrated Investing)"라는 책을 추천합니다. 이 책에는 집중 포트폴리오를 운영했던 투자자들의 프로필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루 심슨도 그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는 1979년부터 2010년 은퇴할 때까지 GEICO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운영했습니다. 그의 기록은 놀라울 정도입니다. 연 20%의 수익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시장의 13.5%에 비해 훨씬 높은 수치입니다. 심슨이 포트폴리오를 집중 투자한 이유는 간단했습니다. "좋은 투자 아이디어, 즉 우리의 기준에 부합하는 기업은 찾기 어렵습니다. 우리가 찾았다고 생각하면 큰돈을 투자하게 됩니다." 심슨의 투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집중되었습니다. 1982년에는 2억 8천만 달러 규모의 포트폴리오에서 33개 주식을 보유했습니다. 그는 포트폴리오 규모가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보유 주식 수를 계속 줄였습니다. 그의 마지막 해인 1995년에는 11억 달러 규모의 포트폴리오에서 단 10개의 주식만 보유했습니다. 이는 재무 설계사들이 하는 거의 모든 조언과 상반됩니다. 그리고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제대로 알지 못한다면 위험한 조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에는 더 안전하다는 잘못된 믿음에 얽매여 분산 투자하는 것보다, 진정으로 잘 아는 최고의 아이디어에만 집중하는 것이 훨씬 더 나은 결과를 낼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다른 훌륭한 기고문을 읽으려면 아마존에서 "Harriman's New Book of Investing Rules"를 찾아보세요. 500페이지가 넘는 두툼한 책으로, 흥미로운 내용이 가득합니다. 가격만큼의 가치가 있습니다. 현재 시장 투자에 대한 전문가의 조언은 Bonner and Partners에서 Chris Mayer의 다른 콘텐츠를 참조하세요.]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