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0
  • 타이쿤
  • 조회 수 29

제1편. 볼린저 밴드의 정의

 

제1장. 볼린저 밴드란 무엇인가?

 

###볼린저 밴드......Bollinger On Bollinger Bands

 

I also was very interested in technical analysis and specifically in trading bands. It occurred to me that the key to the proper bandwidth was volatility. So I embarked on a testing program that examined various measures of volatility as a method of setting bandwidth. It became readily apparent that the standard deviation calculation provided a superior result. This is primarily due to the squaring of the deviations from the average in the calculation.

ㅡBollinger On Bollinger Bands p.47

 

또한 기술적 분석, 특히 트레이딩 밴드에 관심이 많았다. 그러던 중 적절한 대역폭의 핵심은 변동성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나는 대역폭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변동성 측정을 조사하는 테스트 프로그램에 착수했다. 표준편차 계산이 더 우수한 결과를 제공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었다. 이는 주로 계산에서 평균으로부터의 편차를 제곱하기 때문이다.

 

The defaults for Bollinger Bands are a 20-day calculation- approximately the number of trading days in a month-and ±2 standard deviations.

ㅡBollinger On Bollinger Bands p.53

 

볼린저 밴드의 기본값은 20일(대략 한 달의 거래일 수)과 ±2 표준편차를 계산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Standard deviation and coverage

 

About 68% of values drawn from a normal distribution are within one standard deviation σ from the mean; about 95% of the values lie within two standard deviations; and about 99.7% are within three standard deviations. This fact is known as the 68–95–99.7 (empirical) rule, or the 3-sigma rule.

 

표준 편차 및 범위

 

정규 분포에서 도출된 값의 약 68%는 평균에서 1표준편차 σ 이내, 약 95%는 2표준편차 이내, 약 99.7%는 3표준편차 이내에 있습니다.[6] 이 사실을 68-95-99.7(경험적) 규칙 또는 3-시그마 규칙이라고 한다.

 

The Empirical Rule

 

For all normal distributions, 68.2% of the observations will appear within plus or minus on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 95.4% will fall within +/- two standard deviations; and 99.7% within +/- three standard deviations.

This fact is sometimes called the "empirical rule," a heuristic that describes where most of the data in a normal distribution will appear. Data falling outside three standard deviations ("3-sigma") would signify rare occurrences.

 

모든 정규 분포의 경우, 관측값의 68.2%는 평균의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1표준편차 내에, 95.4%는 +/- 2표준편차 내에, 99.7%는 +/- 3표준편차 내에 나타난다.

이 사실을 '경험적 규칙'이라고도 하며, 정규 분포에서 대부분의 데이터가 어디에 나타나는지 설명하는 휴리스틱입니다. 3표준편차('3-시그마')를 벗어나는 데이터는 드문 경우를 의미한다.

 

 

제2장.  볼린저 밴드의 구성 요소 (Components of Bollinger Bands)

 

​1. Middle Band (중간 밴드)​

 

Bollinger Bands의 중심선으로, 일반적으로 ​20일 단순 이동 평균(SMA, Simple Moving Average)​을 사용합니다. 이는 가격 데이터의 평균적인 추세를 반영합니다.

 

​2. Upper Band (상단 밴드)​

 

중간 밴드 위에 위치하며, ​중간 밴드 값 + (20일 가격 표준편차의 2배)​로 계산됩니다. 이는 가격의 상한 변동성을 표시합니다.

 

​3. Lower Band (하단 밴드)​

 

설명​: 중간 밴드 아래에 위치하며, ​중간 밴드 값 − (20일 가격 표준편차의 2배)​로 계산됩니다. 이는 가격의 하한 변동성을 표시합니다.

 


추가 설명 (Supplementary Notes)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가격 데이터의 분산 정도를 측정하여 밴드의 폭을 결정합니다. 변동성이 커지면 밴드가 넓어지고(​확장​), 변동성이 작아지면 밴드가 좁해집니다(​수축​).

 

​설정 조정​: 기본적으로 20일 SMA와 2배 표준편차를 사용하지만, 트레이더는 시장 조건에 따라 기간(예: 14일, 50일)이나 표준편차 배수(예: 1.5배, 3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제2편. bollinger band trading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퍼머링크

댓글 0

권한이 없습니다.